템플릿 메서드


 객체의 연산에는 알고리즘의 뼈대만을 정의하고 각 단계에서 수행할 구체적 처리는 서브클래스 쪽으로 미룹니다. 알고리즘의 구조 자체는 그대로 놔둔 채 알고리즘 각 단계처리를 서브클래스에서 재정의할 수 있게 합니다.


-GOF의 디자인패턴 중-











예를 들어 기존 커피와 차를 만드는 코드가 있는데 코코아를 만드는 코드를 만들게 되었습니다.이럴 경우 만드는 순서, 물을 끓이고 컵에 담는 동일 공정이 해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템플릿 메서드를 사용 할 경우 동일 공정을 부모 클래스에 정의함으로써 코드의 중복과 하드 코딩을 방지 할 수 있습니다. 클래스는 부모클래스인 비버리지와 서브클래스인 커피와 티로 구성되며, 템플릿 메서드로는 음료제작에 대한 알고리즘의 골격을 정의하는 프리퍼레시피가 있습니다. 우선 부모클래스인 비버리지가 서브클래스인 커피와 티에 공통적인 행위에 대하여 정의하면, 자식클래스인 커피와 티는 서로 공통되지 않는 부분에 대하여 정의하고 있습니다. 또한 프로퍼레시피의 코디먼트는 첨가물여부에 대한 훅메소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훅메소드는 부모 클래스에 선언되는 메소드이기는 하지만 기본적인 내용만 구현되어 있거나 아무 코드도 들어있지 않은 메소드 입니다. 이를 서브 클래스에서 선택적으로 오버라이드 하여 사용하며, 오버라이드 하지 않으면 부모클래스에서 기본으로 제공한 코드가 실행됩니다.


이러한 템플릿 메서드는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일수 있다는점과 일부행동만 지정하는 프레임웍을 만다는데 유용하지만, 서브클래스가 꼭 구현해야할 매서드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설계가 복잡해지고, 상속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유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관련패턴으로는 전략패턴이 있는데, 템플릿메서드는 동일알고리즘의 일부분이 다양한 형태를 띄도록 하기 위해 서브클래스에서 처리하고, 

전략패턴은 바꿔쓸수 있는 행동을 캡슐화하고, 어떤행동을 사용할지는 서브클래스에게 위임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include <iostream> 

 



using std::cout; 

using std::cin; 

using std::endl; 



class Beverage 

public: 

// 템플릿(틀) 메소드. 

// 알고리즘의 각 단계가 파생 클래스에서 수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가상으로 선언.

// 비가상인터페이스 :  private 가상 함수를 감싸는 publice 비가상 함수(비가상 인터페이스)를 만들어 

// 인터페이스를 단일화하는 것을 의미

// 템플릿 메소드 패턴으로 구현

void PrepareRecipe() 

BoilWater(); 

Brew(); 

PourInCup(); 

if ( Condiments() ) // 후킹! 

AddCondiments(); 

}

}

private: 

// 모든 가상 메소드를 정의 해야만 한다.

//가상메소드 정의 (Brew & AddCondiments)

virtual void Brew()=0;

virtual void AddCondiments()=0;

// 후크연산 기본적으로 부모연산은 아무행동도 정의하지 않는다.

// 기본 클래스에 있는 템플릿 메소드의 알고리즘 단계에 파생 클래스가 여러가지 방식으로 개입할 수 있게 된다. 

virtual const bool  Condiments() 

{

return true; 

} //기본값 : 첨가물추가


void BoilWater() { cout << "물 끓이는 중" << endl; } 

void PourInCup() { cout << "컵에 따르는 중" << endl; } 

}; 



class Coffee: public Beverage 

private: 

// 가상메소드 재정의 (Brew & AddCondiments)

void Brew()

{

cout << "커피 우려내는중~"<<endl;

}


//행동확장을 위해 후크연산을 재정의한다.

virtual const bool Condiments() // 후크

cout << "설탕과 우유를 넣으시겠습니까? : 1. 네, 2. 아니오" << endl; 

int answer=0; 

bool res=0;


cin >>answer; 

if (answer ==1)

res = true; 

else if (answer ==2)

res = false;

return res; 

}

void AddCondiments()

{

cout << "우유와 설탕을 추가하는중~"<<endl; 

}

};



class Tea: public Beverage 

private: 

// 가상메소드 재정의 (Brew & AddCondiments)

void Brew()

{

cout << "티백 우려내는중~"<<endl;

}

void AddCondiments()

{

cout << "레몬을 추가하는중~"<<endl; 

}

};



void main()

{

Beverage *cafe = new Coffee();

cafe->PrepareRecipe();


delete cafe;


cout<<"\n\n"<<endl;


cafe = new Tea();

cafe->PrepareRecipe();


delete cafe;


cout<<"\n\n"<<endl;

cafe = new Coffee();

cafe->PrepareRecipe();


delete cafe;

}


'Programing > Design Patter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태패턴 예제  (0) 2016.11.30
State Pattern (상태패턴)  (0) 2016.11.30
전략패턴,Strategy patterns  (0) 2016.11.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