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하는 어셈블리 문서화



어셈블리의 메타 데이터는 내부 형식들 뿐만 아니라 이 형식들에 의해서 참조되는 외부 형식들도 설명한다. 

System.Object형식에 대한 대한 TypeRef 블록을 볼 수 있다.





ildasm 메타데이터 창을 이용하면 Assembly 토큰을 이용해서 어셈블리 자신을 설명하는데 .NET 메타데이터를 볼 수도 있다. 다음의 목록에서 볼 수 있듯이 Assembly 테이블에 기록된 정보는 MAINIFEST 아이콘을 통해 볼수 있는 정보와 동일하다.





.NET 메타데이터는 TypeDef와 TypeRef블록과 Assembly 토큰 이외에도, AssemblyRef#n 토큰을 이용해서 각외부 어셈블리를 문서화 한다. MyFirstAssembly.dll 을 통해 사용하고 있는 것에 대한 AssemblyRef를 볼 수 있다.




.NET 메타데이테의 코드 베이스에 있는 모든 문자열 리터럴이 User Strings 토큰 아래에 문서화 된다. 




.NET 메타데이터가 매우 설명적이고 해당 코드 베이스에 있는 모든 내부에 정의된 형식을 나열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정보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와 애ㅗ 신경써야하는 부분을 고려하기 위해선 .NET 리플렉션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야 한다.


'Programing > C#&.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플렉션 활용  (0) 2016.11.30
리플렉션(reflection)  (0) 2016.11.30
형식 메타데이터  (0) 2016.11.30
c# 프로그램 연습  (0) 2016.11.30
Delegate(대리자)  (0) 2016.11.30

+ Recent posts